[24절기] 오늘(7일)은 소서, 김매기 하는 철입니다

정기홍 승인 2021.07.07 12:39 | 최종 수정 2021.12.23 00:52 의견 0

오늘은 작은 여름 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小暑)입니다. 소서는 24절기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고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의 절기이고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7월 5~7일에 듭니다.

폭염이 시작되고 과일이 익는다는 것 외엔 딱히 다른 절기에 비해 풍속 등 얘깃거리가 많지 않습니다.

이 시기에는 또한 여름 장마가 시작됩니다.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 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려 습도가 높습니다. 늦장마가 온 요즘 날씨와 비슷합니다. 이번 장맛비는 다음 주초까지 길게 이어진다고 합니다.

절기를 이를 때 항시 나오지만 중국에선 소서 무렵의 15일을 3후(三侯)로 나누었다고 합니다. 우리의 고려사(高麗史)엔 이를 따라 초후(初候)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次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말후(末候)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한다고 했습니다.

이때는 하지(올해는 6월 21일) 무렵 논에 심은 모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모를 낸 15~20일 쯤 뒤인 소서 무렵에 초벌논매기를 했습니다. 달리 김매기라고 하는데, 모내기를 한 무논에 나는 작은 잡풀을 손으로 긁어 논바닥의 진흙 속에 묻는 작업입니다. 모가 영양분을 듬뿍 받아 잘 자라게 하는 것이지요.

이때는 또 논둑과 밭두렁에 풀이 많이 납니다. 장마철을 맞아 풀이 금방 자라기 때문에 작은 모가 치이지 않고 햇빛을 많이 받도록 풀을 주기적으로 베어 줘야 합니다. 이 풀은 퇴비용으로 활용하지만 농약을 치지 않을 땐 소꼴(소 등에게 먹이는 풀)도 했습니다. 보리를 베어낸 자리에는 콩, 조, 팥 등을 심어 이모작을 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요즘은 시절이 빨라져 이미 다 심었다고 합니다.

농가월령가에 이 때의 풍경을 잘 묘사했습니다. '젊은이 하는 일이 김매기 뿐이로다. 논밭을 갈마들여(서로 번갈아 들어) 삼사차 돌려 맬 제 날 새면 호미 들고 긴긴 해 쉴 새 없이 땀 흘려 흙이 젖고 숨막혀 기진할 둣'. 더위 속에 논밭에서 나는 풀을 뽑아내느라 바쁘다는 뜻입니다. 농부들은 "돌아서면 잡초가 한뼘씩 자란다"며 혀를 내두른다고 합니다. 잦은 비 때문입니다.

과일과 채소도 풍요로운 절기입니다. 제철 채소인 감자, 오이, 애호박 등이 나오고 냇가에서는 다슬기도 자라 삶아서 속을 뽑아먹곤 합니다. 수확한 밀과 보리도 도정해 이때부터 먹었습니다. 모두가 제철 음식이니 영양가도 꽤 풍부합니다.

대체로 음력 6월은 농사철치고는 한가한 편이라서 도정한 밀가루 음식을 많이 해먹었습니다. 요즘 최고의 별미인 국수나 수제비를 말합니다.

또다른 제철 과일인 자두, 토마토, 수박, 참외 등도 챙겨먹으면서 더위를 식혔다고 합니다.

보통 하지 때 다 끝낸다는 모내기 이야기도 나오네요. 보통 모내기 철을 ‘하지 전 3일, 하지 후 3일’이라고 하는데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에서는 소서 때가 모를 심는 적기라고 한답니다.

늦게 심는 이유가 두레를 하던 당시엔 어느 논이든 보리를 심어 모를 내는 시기가 지금보다 훨씬 늦었기 때문입니다.

속담으로는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 심는다'가 있는데, 늦은 모내기라 빨리 끝내야 한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햇볕과 관련해서는 '오뉴월 병아리 하루 볕이 새롭다'나 '오뉴월 볕 하루만 더 쬐어도 낫다'가 있습니다. 음력 오뉴월에는 햇볕이 좋아 하루 먼저 햇볕을 쬐면 그만큼 더 자란다는 뜻입니다. [플랫폼뉴스 정기홍 기자]

저작권자 ⓒ 플랫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