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100만 붕괴될라, 특례시 자격 지켜라"

매달 500∼600명 감소···100만 사수 TF 발족
요인은 탈원전 정책에 두산중 피해와 협력업체 도산

강동훈 승인 2021.01.03 12:04 | 최종 수정 2021.12.10 14:09 의견 0

기초단체 중 수도권 대도시를 제외한 유일한 인구 100만명의 경남 창원시가 새해 벽두부터 인구 늘리기에 노심초사다.

창원시는 3일 '인구 100만 사수 태스크포스'가 4일부터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다른 부서에 흩어진 관련 시책을 모아 기획관 산하에 있던 인구정책 담당 규모를 확대했다. 인원도 3명에서 6명으로 늘렸다.

창원시는 우선 주소지를 옮기기 쉬운 대학생, 기업체 직원의 전입에 신경을 쓸 요량이다.

창원시가 갖는 위기감은 크다. 창원시는 지난 2010년 7월 생활권이 같은 창원·마산·진해시 3개 시가 합쳐 탄생했다. 통합 원년 12월 인구(외국인 제외)는 109만 명을 넘었다. 경기도 수원·고양·용인시 등 수도권 3개 시를 제외하면 전국에서 유일하게 100만 명이 넘는 기초단체가 됐다.

지난해 12월에는 국회에서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통과돼 인구 100만명이 넘은 수도권 3개 시와 함께 '특례시' 지위도 얻었다. 특례시는 기초단체 지위를 유지하면서 부산, 울산 등 광역시에 버금가는 행정 및 재정적 권한을 갖는다.

그러나 10년전 통합 이후 반짝 증가하던 인구는 2011∼2012년 무렵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창원국가공단의 주력 제조업인 기계장치산업의 침체로 근로자 수가 줄어든 탓이다. 최근에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사업이 주력인 두산중공업이 휘청하면서 협력업체들의 줄도산이 가장 큰 타격을 줬다.

▲ 지난 11월말 기준 창원시 5개 구청별 인구

이와 함께 아파트 값 상승으로 출퇴근이 가능하고 집값이 더 싼 김해로 빠져나간 것도 인구 유출의 요인이다.

창원시가 마지노선으로 정했던 인구 105만 명은 지난 2019년 무너졌다. 지난해 11월에는 103만 7000명으로 떨어졌다. 지금도 매달 500∼600명씩 인구가 줄고 있다.

창원시는 이 추세라면 오는 2024∼2025년에 인구 100만 명이 붕괴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한 때 국내 경제를 이끌던 조선 등 창원의 대규모 제조업이 점점 쇠퇴하고 있다"며 "이를 대체할 첨단 4차산업을 키워 자리를 메우지 못하면 인구 지키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플랫폼뉴스 강동훈 기자]

저작권자 ⓒ 플랫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