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아연의 동행 9] 헌 털실과 세 가지 보물

신아연 승인 2019.04.01 07:10 의견 0

 [플랫폼뉴스 신아연 칼럼니스트] 

중년싱글/ 인문예술문화공간 블루더스트 치유작가 

 http://cafe.naver.com/bluedust

 

‘헌 털실 풀어서 짠 장갑’, 어느 독자가 내 글을 이렇게 묘사했다. “어릴 때 어머니가 겨울 채비로 낡고 헌 털옷을 색깔별로 풀 때 저도 옆에 앉아서 당기고 놀았거든요. 풀려나온 빨간 실, 초록 실이 어느 새 엮여져 성탄절 장갑이 되곤 했어요. 경이로왔지요.” 내 글이 섬세한 감성을 지닌 미소년이었던 한 중년 남성의 따스한 추억을 소환한 모양이다.

 

그 분은 내 글이 다양한 종류의 헌 털실을 풀어서 이것저것을 짜내는 것을 연상시킨다고 했다. 그런데 왜 하필 헌 털실일까. 가만히 생각해 보니, 푸근하고, 편안하고, 검소하고, 소박하고, 익숙하고, 무던하고, 덤덤하고... 헌 털실은 일상과 닮았다. 내 글은 정말이지 헌 털실처럼 때깔나지 않는 평범한 일상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그 분의 표현이 와 닿는다.


『도덕경』 67장은 '내게는 세 가지 보물이 있다'로 시작된다. 그것은 ‘자애’와 ‘검약’과 ‘세상에 앞서려 하지 않음’이다. 자애는 어머니 같은 마음이다. 어머니는 낳고 기르고 보호하지만 그 모든 것을 무상으로 자식에게 내어준다. 검약은 아끼는 마음이다. 낭비하지 않고 알뜰해야 진정어린 마음으로 베풀 수 있다. 또한 세상에 앞서려 하지 않기에 오히려 앞서게 되어 당당하고 담담하게 살아가게 된다. 이 세 가지로 인해 세상살이에 주눅 들지 않고, 가진 것이 없어도 베풀 수 있고, 겸손하게 자신을 낮추며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노자는 말한다.  

 

세 가지 보물 가운데 으뜸은 ‘자애’다. 다른 말로 하자면 ‘사랑’이다. 맨송하고 밋밋한 일상을 자애와 사랑으로 살아가는 일은 낡은 스웨터를 풀어 알록달록한 장갑을 뜨는 일이다. 헌 털실이, 일상이 보물이다.

 

유영상 작가의 영상풍경

 

저작권자 ⓒ 플랫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