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눈) 레터] 마부위침(磨斧爲針)

정기홍 승인 2021.06.17 14:52 | 최종 수정 2022.03.19 20:19 의견 0

※ 플랫폼뉴스는 SNS(사회적관계망)에서 관심있게 회자되는 글을 실시간으로 전합니다. '레거시(legacy·유산)적인 기존 매체'에서는 시도하기를 머뭇하지만, 요즘은 신문 기사와 일반 글의 영역도 점점 허물어지는 경향입니다. 이 또한 정보로 여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SNS를 좌판에서 한글 모드로 치면 '눈'입니다. 엄선해 싣겠습니다.

<마부위침(磨斧爲針)>

명품 도자기도 바탕은 진흙이다. 천하 명검도 바탕은 쇠붙이다. 도공은 진흙에 땀과 영혼을 섞어 명품을 구워낸다. 장인은 쇠붙이를 자르고 쪼고 갈아 명검을 만들어낸다.

세상에 위대하게 태어난 것은 극히 적다. 마음을 쏟고, 갈고 닦으며 용기를 내 걸으면 누구나 한발씩 위대함에 다가간다. 앉아 있는 천재는 한발씩 내딛는 범부를 결코 따라가지 못한다.

중국의 시선(詩仙) 이백(李白)도 '타고난 시인’은 아니었다. 그도 여느 아이들처럼 배움보다 노는 데 마음을 두었다. 보다 못한 아버지가 이백을 상의산으로 보내 공부를 시켰다. '산중 과외선생'을 붙여준 것이다.

얼마 되지 않아 싫증이 난 이백은 공부를 포기하고 산에서 내려가기로 했다. 하산 도중 산 입구 물가에서 도끼를 가는 노파를 만났는데, 가는 모양새가 이상했다.


이백이 물었다. “도끼날을 세우려면 날 쪽만 갈아야지요. 왜 이렇게 전부를 가시는지요”

노파가 답했다. “이렇게 다 갈아야 바늘을 만들지.”


엉뚱하다 싶어 이백이 웃었지만, 노파는 진지했다.

“이리 갈다 보면 도끼도 언젠가는 바늘이 되겠지. 시간이 걸려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노파의 말이 이백 가슴에 꽂혔다. 그는 다시 길을 돌려 산에 들어가 배움에 정진했다.


중국 당나라 역사책 '당서(唐書)'에 나오는 얘기다.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아무리 힘든 일도 노력하고 버티면 결국은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마부작침(磨斧作針)으로 바꿔 쓰기도 한다.


'시경'에 나오는 시 구절 절차탁마(切嗟琢磨·자르고 쓸고 쪼고 간다)도 뜻이 같다. 시는 학문과 인격을 끊임없이 갈고닦아야 비로소 군자에 가까워진다고 깨우친다. 옥(玉) 역시 절차탁마를 거쳐 태어난다.

세상에 '타고난 천재'로 성공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성공한 사람의 99%는 남달리 노력한 자다. 처음에 앞서가다 '노력하는 자'에게 밀린 천재들은 역사에 무수하다.

세상에 노력만한 재능은 없고, 인내만한 용기는 없다. 세상 이치는 단순하다.

'안 된다'고 하면 100% 가까이 안 되고, '된다'고 하면 절반 정도는 된다. 그건 엄청난 차이다.

세상 길이 어디 편하기만 하겠는가. 하지만 주저앉고 싶을 때마다 자신에게 이 질문은 던져봐라.

“그래, 너는 끝까지는 해 봤느냐?”

※ 마지막 문구을 보니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이봐! 해 봤어?"란 말이 생각나군요. 울산의 해변가에 배 만드는 현대중공업을 세우려는 계획에 주위 참모들이 무모하다며 반대하자 일갈을 한 말입니다.

이분이야 자신의 사업 의욕을 일깨웠다는 '빈대론'에서부터 경부고속도로 세계 최단기 건설, 한겨울 부산유엔공원묘지에 겨울보리를 심어 초록으로 바꾼 일, 첫 국산자동차인 포니 생산, 소떼를 몰고 북한을 방문한 일, 영국의 은행을 찾아 이순신 장군의 500원짜리 지폐를 보이고서 돈을 빌려온 일화, 서해 간척공사 때 울산에 있던 폐유조선을 끌고 와서 물길을 막은 일 등 수없이 많지요.

저도 현대가와 관련된 책을 4~5권은 읽었다고 기억하는데 거의 모든 게 '도전'이더군요. 그 시대의 사람들은 대부분 삶 자체가 도전과 개척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을 듯합니다. 저의 부친도 수 만평 되는 비탈진 산을 과수원으로 개간했습니다. 당시 불도저가 어디 있습니까? 혼자서 하셨습니다. 저의 부친 뿐이겠습니까. 전국의 야산에 심어져 있는 유실수의 산판(山坂)들은 전부 다 내남없는 우리의 부모님들이 일군 것입니다.

요즘엔 "자네, 하기나 해 봤어?"라고 강압적으로 말한다면 당장 머리에 두건 두르고 노동가를 부를 참입니다. 시대마다 그 시대의 현실과 기준이 있고, 그 기준을 놓고 평가하는 게 일단은 맞다고 봅니다. 개발 시대의 일을 지금 기준에서 평판을 한다면 적지 않은 당사자는 감옥을 가야 하거나 엄청난 벌금을 물어야 하겠지요. 꿰맞춰야 하는 아귀도 맞지 않고요.

마부위침, 보통 마부작침으로 오가는 말인데, 절차탁마까지 불러내 의미 부여를 했네요. 도끼를 바늘로 만든다는 마부위침을 음미해 보니 '쓴것이 다하면 단것이 온다'는 고진감래(苦盡甘來)란 단어도 와닿습니다.

어디 의미 없는 사자성어와 문구와 말이 있겠습니까. 특정 공간에서 이렇듯 기척을 해주니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지나는 겁니다. [플랫폼뉴스 정기홍 기자]

저작권자 ⓒ 플랫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