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2일)은 24절기의 스무 번째 절기이자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입니다.
기상청은 오늘 밤부터 내일까지 중부이남 곳곳에서 눈이 내린다고 예보했네요. 10cm가 쌓이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각 가정에서는 김장 준비에 바쁜 한철입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40도일 때이며 양력으로 11월 22일 또는 23일, 음력으로는 10월에 듭니다.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立冬) 후 15일, 큰 눈이 내린다는 대설(大雪) 전 약 15일에 자리합니다.
중국에서는 소설 이후를 5일씩 나눠 초후(初候), 중후(中候), 말후(末候) 등 3후(三候)로 삼았습니다.
초후에는 이젠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에는 천기(天氣)는 오르고 지기(地氣)는 내리며, 말후에는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맘 때 눈이 내릴 정도로 추위가 시작돼 겨울 채비를 합니다. 하지만 한겨울에 든 것은 아니고 아직 따뜻한 햇살이 있어 소춘(小春)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이때는 평균 기온이 5도 이하로 내려가고 첫 추위가 옵니다. 오늘 서울에서도 벌써 영하 2도를 기록했습니다.
소설은 대개 음력 10월 하순에 드는데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날씨가 급강하 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겨울을 나기 위해 소설 전에 김장을 서두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농사철은 지났지만 월동 준비 잔일은 남아 있지요.
겨우내 먹을 무청 시래기와 배추 등 푸성귀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나 호박을 썰어 말리기도 합니다. 요즘은 볼 수 없지만 목화를 따서 손을 보는 때이기도 합니다.
또 겨우내 소의 먹이로 쓸 볏짚을 모아두기도 한다. 요즘 축산 농가에서는 베일 작업을 합니다. 곧이어 래핑을 해 하얀 '공룡알'을 만듭니다. 논 한 가은데 하얀 공처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속담으로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 농사가 잘 된다는 뜻입니다.
소설 즈음에는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 추위를 손돌추위라고 하며, 뱃사람들은 소설 무렵에는 배를 잘 띄우려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관련해 다음의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을 소개합니다.
고려 23대 고종이 몽고군의 침략을 받아 강화도로 몽진을 가던 때라고도 하고, 조선시대에 이괄의 난을 피해 인조(仁祖)가 한강을 건너던 때라고도 한다.
사공 중에 손돌(孫乭)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피난을 가는 왕을 모시고 뱃길을 서둘렀지만, 왕이 보아하니 손돌이 자꾸 일부러 그런 것처럼 물살이 급한 뱃길을 잡아 노를 젓는 것이었다. 왕은 의심이 갔다. 그래서 신하를 통해서 물살이 세지 않은 안전한 곳으로 뱃길을 잡으라고 하였지만 손돌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왕은 의심을 이기지 못하고 선상에서 손돌을 참수(斬首) 했다.
손돌은 죽기 전에 억울함을 하소연하였지만 소용이 없음을 알고, 바가지를 하나 내놓으며 물에 띄운 바가지가 가는 길을 따라 뱃길을 잡으라고 말했다. 물살은 점점 급해지고 일행은 하는 수 없이 손돌이 가르쳐 준대로 바가지를 물에 띄웠다. 바가지는 세찬 물살을 따라 흘러갔으며, 왕을 실은 배도 그 뒤를 따랐다.
무사히 뭍에 내린 왕은 그때야 비로소 손돌의 재주와 충심을 알았다.
또다른 전설에서는 손돌을 죽인 후에 더더욱 세찬 바람이 불고 물살이 급해졌기 때문에 하는 수없이 싣고 가던 말의 목을 잘라 제사를 모셨더니 파도가 잠잠해졌다고도 한다.
뭍에 도착한 왕은 곧 후회를 하였지만 손돌의 목숨을 다시 되돌릴 수는 없었다.
이후 경기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 덕포진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손돌의 장지(葬地)를 정해 후하게 장사를 지내주었다고 합니다. 이때가 음력 10월 20일이었는데 매년 소설 즈음인 이맘 때면 찬바람이 불고 날씨가 추워진다고 합니다. 소설 무렵에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부른 이유라고 합니다.
저작권자 ⓒ 플랫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